3) 보험 회사의 리스크 보험 회사가 직면 할 수 있는 위험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보험사의 고유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사회나 경쟁사 혹은 경제 환경 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야기되는 위험도 있다.
(1) 보험 회사 위험 분류 방법
보험 회사가 직면 할 수 있는 위험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분류 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분류 방법은 우연적으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대상을 보험 계리인이 4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만든 것이다. 위험을 우발적인 사고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우연성'(Contingency : C)이란 명칭을 사용한다. 또 다른 방법은 바젤 은행 감독위원회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가 은행에서 위험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위험을 4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시 한 것이다. 이에 IAA (International Actuarial Association)은 바젤위원회의 4 가지 유형의 위험에다 보험자에게만 적용되는 계약 심사 위험 (underwriting risk)을 추가하여 보험 회사의 위험으로 채택하였다. 위의 분류법에서는 명칭이 위험의 속성을 정확히 나타낸다기보다는 편의에 의하여 분류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이렇게 분류된 기본적인 위험들은 자체 내에서 다시 다수의 세부 항목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동일한 위험에 대하여 다른 명칭이 부여 될 수도 있고, 같은 명칭이라도 정의가 다르게 내려질 수도 있다.
① 우연성 분류 위험을 C-1, C-2, C-3, 및 C-4의 4 가지로 분류한다. 우연성 분류법은 현재에도 보험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 C-1 혹은 자산 위험 (asset risk) : 투자를 하였을 때 채무가 불이행되거나 시장 가치가 변동 하는 것 때문에 야기되는 위험을 말한다.
㉡ C-2 혹은 가격 위험 (pricing risk) : 보험료에 적절한 위험 비용과 사업비를 포함시키지 못함 으로써 야기되는 위험이다.
㉢ C-3 혹은 비 시장 이자율 위험 (non-market interest rate risk) : 자산과 부채의 현금 흐름이 상대 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야기되는 위험이다.
㉣ C-4 혹은 기타 사업 위험 (miscellaneous business risk) : 그 밖에 계리적으로 용이하게 예측 할 수 없는 위험들을 말한다.
② IAA분류법
㉠ 계약 심사 위험 (underwriting risk) : 보험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추가 된 유형의 위험이다. 계약 심사를 잘못하면 예상했던 것보다 사망률이 높아진다. 사망률이 높아지면 지출이 예상보다 과도 해져 보험료에 지급 보험금과 사업비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 것이 되어 결과적으로 보험회사에 재정적인 어려움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계약자들의 행태와 관련되어 계약의 유지율이나 약관 대출이 어떻게 될 것인가를 잘못 가정 하였을 경우에도 야기되는 위험이다. 보험회사의 수입과 지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 시장 위험 (market risk) : 자산과 부채의 가치가 변동하는 것은 예상되는 미래의 현금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장 위험이란 금융 시장에서 자산과 부채의 가치가 변동하거나 혹은 물 확실 해지는 것에 의하여 야기되는 위험을 말한다.
㉢ 신용 위험 (credit risk) : 보험 회사가 보험금을 지급하지 못할 가능성을 야기시키는 위험이다. 가장 큰 신용 위험은 채권의 지급 불이행이나 재보험자의 도산이다.
㉣ 유동성 위험 (Liquidity risk) : 주된 원인은 시중 금리의 변동에 따라 계약자나 채무자가 예상 되었던 것과는 달리 보험료나 계약 대출을 더 많이 혹은 더 적게 납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중 금리가 높아지면 적용 이율이 시중 금리보다 낮게 고정되어있는 보험료를 납입하지 않거나 혹은 계약 대출을 받아 이자율이 높은 다른 금융 기관에 예시하는 것이다. 시장금리가 낮아질 경우에는 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어느 정도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여겨지는 사망률이나 장해율이 높아져 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 운영 위험 (operational risk) : 내부적으로나 외부적으로 사람, 진행 과정 혹은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이 야기되는 위험을 말한다.
'보험 > 보험과 위험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위험 관리란?-(2) (0) | 2021.07.24 |
---|---|
3.2 위험 관리란?-(1) (0) | 2021.07.24 |
3.1 위험이란?-(2) (0) | 2021.07.24 |
3.1 위험이란?-(1) (0) | 2021.07.24 |